[Raspberry Pi] 라즈베리파이 4에 라즈비안 설치하기

Yeshin Lee
4 min readMar 30, 2024

--

라즈베리파이에 직접 서버를 구축해보고 싶어서 작년 12월, 당근에서 라즈베리파이 4 키트를 구매했다.

(시계 방향으로) HDMI, 알루미늄 방열판, 라즈베리파이 케이스, 라즈베리파이 4B(8GB), microSD card, 충전기

만져보는 것도 잠깐, 우선 순위에 밀려 방 한 쪽에 고이 간직하고 있었다가 최근에 다시 꺼냈다.

실습을 위해 책을 참고하려고 했으나, 이내 다른 사람의 블로그를 보며 진행했다.

방열판은 라즈베리파이의 열 방출을 위해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에 붙인다.

SD카드와 랜선을 꽂고 윈도우 노트북에 HDMI 선을 연결, 전원 선을 꽂았다.

라즈베리파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microSD card에 OS(a.k.a. 라즈비안)를 설치해야 한다.

이를 위해 Raspberry Pi Imager를 다운받았다.

  • 터미널에 sudo apt install rpi-imager 입력하여 CLI로도 실행할 수 있다.
  • Raspberry Pi Imager의 다운로드 통계에 의하면, 라즈베리파이 OS가 60% 이상으로 라즈베리파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운영체제라고 한다.

현재 참고 중인 포스트는 현시점과 차이가 있어 비교적 최신인 글을 참고했다.

벌써부터 문제가 생겼다.

Device와 OS를 설정했는데 Storage에서 microSD card가 보이지 않는다.

알고 보니 라즈베리파이가 아닌 연결한 노트북에 꽂아야 했다.

SD카드에 컴퓨터에서 다운로드받은 라즈비안을 넣고, 그 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장착하여 라즈베리파이를 실행하는 것이었다.

  • 사실 Imager 사이트에도 어디에 꽂으라고 하는지 언급되어있다. (Put the SD card you’ll use with your Raspberry Pi into the reader)
  • 그 전에 ‘SD카드가 저장소 역할’이라는 사실을 까먹지 않았다면 실수는 없었겠지만.
아놔

라즈베리파이에 꽂았던 SD카드를 노트북에 꽂고 실행하니 제대로 보였다.

설정이 완료되면 NEXT 버튼이 활성화된다.

OS customization은 필요없다고 생각해 NO, YES를 차례대로 클릭, 설치가 시작되었다.

라즈비안을 다운로드하는데 11분 정도 걸렸다.

  • 이 때 라즈베리파이를 만져보니 약간의 열이 느껴졌다.

설치를 완료했다.

모니터에 연결하는건 다음 기회에~

--

--

Yeshin Lee
Yeshin Lee

No responses y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