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rcel을 활용한 초간단 도메인 연결 및 배포

Yeshin Lee
Aug 13, 2024

--

Vercel 기본 도메인을 사용했던 프로젝트에 커스텀 도메인을 연결해본다.

  1. Vercel의 my project - setting - 왼쪽의 Domains 탭을 클릭한다.
  2. 연결하고자 하는 도메인을 입력한다.
그러면 당연히(!) 에러가 발생한다.

3. AWS Route53 - Hosted zones에 추가하려는 도메인을 클릭한다.

짧게 Route53에 대해 설명하자면, AWS에서 제공하는 DNS 서비스로 도메인 관리 및 AWS 리소스(EC2, S3 Bucket 등)에 도메인을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 Route53에서 도메인을 구매하면 자동으로 등록되지만
  • 외부 호스팅 업체(가비아, GoDaddy 등)에서 도메인을 구매했다면, Route53에 따로 등록해줘야 한다.

4. Create record를 클릭하여 A, CNAME 레코드를 추가한다.

도메인을 구매하면, NS와 SOA 레코드는 자동으로 생성된다.
  • A(Address) 레코드: 설정하려는 도메인을 Vercel의 IP 주소로 연결한다.
  • CNAME(Canonical Name) 레코드: 서브도메인(www)을 Vercel의 도메인 이름(Vercel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vercel.app)으로 연결한다.

5. Vercel로 돌아가 Refresh를 클릭하면 도메인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6. 해당 도메인으로 접속해보면 웹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보여진다.

Vercel뿐만 아니라 AWS EC2 인스턴스를 사용해서도 배포를 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리소스를 사용하는데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

만약 라우팅 비용 외에 부과되는 요금이 부담된다면, 위 방법을 사용해보는 것이 좋겠다.

--

--

Yeshin Lee
Yeshin Lee

No responses yet